새소식

Bon Jour

컴퓨터가 좋아....

  • -
반응형

 

 

 

 

 

 

 

 

 

 

컴퓨터가 좋다

안에 들어있는 여러 프로그램들이 어떤 프로토콜, 어떤 명령어로 연결되어있고 그게 어떤 방식으로 흘러가는가를 아는게 너무 재밌다

진짜 그냥 이과가서 컴공을 갔어야 했어

 

아무래도 문과로 오고 대학을 인문과학으로 온 이후로 컴퓨터에 대해서 그다지 생각할 일이 없다

예전에 비해 아는 것도 줄어들고 새로운건 계속 나오고 관심이 줄어든 이후껄 다 알려고 하니까 막막하고 해서 때려쳤다

 

쟈니스 웹 영상 딸려고 하는데 알툴로도 안따지고 소스로 찾아서 넷토렌스를 돌려서 안받아지고 캐쉬로도 안잡히고

뭐 이런 영상이 다 있어 이 개같은 플래시 뭐야 !!!! 했는데

 

rtmp라는 통신 규약으로 되어있는 파일은 저런 방법으로 안 잡힌다는걸 이번에 배웠다

 

위키로 찾아보니까,

 

리얼 타임 메시징 프로토콜(Real Time Messaging Protocol, 흔히 줄여서 RTMP)은 어도비 시스템즈사의 독점 컴퓨터 통신 규약이다. RTMP는 오디오, 비디오 및 기타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할 때 쓰인다. RTMP는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와 서버 사이의 통신에 이용된다.

RTMP 종류는 다음과 같다.

  • RTMP (기본): 1935번 포트 사용, 암호화되지 않은 RTMP, 혹시나 1935번 포트로 시도해서 실패하면 433 포트(RTMPS)나 80 포트(RTMPT)로 재시도함.
  • RTMPT (RTMP Tunneled): RTMP 데이터를 HTTP로 감싼 것. 기본 포트는 80번. HTTP 헤더 때문에 RTMP보다는 크기가 큼.
  • RTMPS (RTMP Secure): RTMP 데이터를 HTTPS로 감싼 것. 플래시 재생기는 SSL 입출력을 지원하므로 그 기능을 사용함.
  • RTMPE (Encrypted RTMP): 128비트로 암호화된 RTMP. SSL보다는 가볍지만 SSL 인증같은게 없음. 암호화 채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본 RTMP보다 약간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RTMPTE (Encrypted RTMP Tunneled): 80번 포트 사용. RTMPT, RTMPE 섞어 놓은 형태. 플래시 플레이어 9,0,115,0 필요. 서버 성능에 영향을 줌.
  • RTMFP (Real Time Media Flow Protocol): UDP에서 동작. 기본 RTMP는 TCP에서 동작. 항상 암호화 된 상태로 데이터를 전송.

처음 목표는 오직 플래시에만 쓰이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플래시뿐 아니라 어도비 라이브사이클 데이터 서비시즈 ES와 같은 다른 응용프로그램에서 RTMP이 쓰이고 있다. 그리고 RTMP 규격은 2009년 1월 20일에 어도비에서 발표했다.

 

라고 적혀있었다.

아.. 그래서 파일 리얼 어드레스에 :1935가 붙어 있었던거구나...

기본 rtmp로 되어있는 거였어.... 이 말은 다음에 1935로 안 받아지면 433포트나 80포트로 해 보면 받아질 수도 있다는 거구만...

 

 

 

 

 

이런거 너무 재밌지 않음?

막 와쿠와쿠 함...

나는 아무래도 오타쿠 기질이 농후한듯... ㅋㅋㅋㅋㅋㅋㅋㅋ

 

 

 

 

반응형

'Bon Jou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 이놈의 우익/혐한들...  (0) 2012.07.31
휴학  (0) 2012.07.30
검색어 ㅠㅠㅠ  (0) 2012.07.19
연기는 어려워  (0) 2012.07.18
고등학교를 5년다니면 어떤 느낌일까....  (0) 2012.07.17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